즐겨찾기+ 최종편집 : 2025-07-08 16:32:42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제보받습니다” 불법선거 or 미투
열린토론회 주제 제안하세요
NO재팬 미담사례 접수
 
이슈·특집 > 포항의 산줄기 최종편집 : 2014-12-18 오후 06:14:58 |
출력 :
[포항의 산줄기]10. 낙동정맥 상옥 구간
‘안수밭등’을 넘는다는 것은 죽장면 하옥리 구역을 벗어나 상옥리 구역으로 들어선다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우리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드디어 상옥리 구간으로 들어서겠습니다...
투데이포항 기자 : 2014년 12월 18일
[포항의 산줄기]9. 고래고원
하옥북릉 분기점인 710m봉을 지나면서 낙동정맥은 본격적으로 포항 구간의 주행을 시작합니다. 주왕산 권역의 별바위봉을 떠난 지 14km, 피나무재서 출발한 지 11km만입니다...
투데이포항 기자 : 2014년 07월 13일
[포항의 산줄기]8. 포항권 깃대봉과 하옥북릉
이제 710m봉을 조금 세밀히 살펴둘 차례인가 합니다. 드디어 포항 땅이 시작되는 시점(始點)이기 때문입니다. 청송-포항 경계가 되는 󰡐하옥 북릉󰡑이 저기서 출발한다고 주목한 뜻도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저러고 보면 710m봉은 포항 땅의 깃대봉인 셈입니다. ..
투데이포항 기자 : 2014년 05월 18일
[포항의 산줄기]제2장 포항 땅의 상부 얼개
낙동정맥에 있는 산덩이 중 상대적으로 많이 알려진 것을 한번 꼽아 보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아, 그 산!' 하고 짐작할 만한 산을 골라 내 그것으로부터 포항 땅 이야기를 풀어가는 게 이해하기 좋을 듯해서입니다...
투데이포항 기자 : 2014년 05월 12일
[포항의 산줄기]6. 미리 드리는 말씀
이 책은 2012년 5월부터 2013년 6월 사이 포항 땅을 답사해 만든 보고서입니다. 세월이 지나면 땅 모양도 많이 변합니다. 불과 몇 달 사이에 몰라볼 정도로 달라지는 경우까지 있습니다. 답사 기간에 유의함으로써 이해에 혼란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투데이포항 기자 : 2014년 04월 25일
[포항의 산줄기]5. 산 답사에 필요한 기초적 이해
산을 살필 때 챙겨둬서 유익할 지식들이 있습니다. 피해야 할 실수도 여럿입니다. 구분 없이 나열해 보겠습니다.
투데이포항 기자 : 2014년 03월 23일
[포항의 산줄기]4. 옛 어른들의 땅이름 짓는 법
땅 이름에 대해서도 기초적인 이해를 갖추고 있어야 산촌 어른들과 소통하기에 좋습니다. 첫째, 산은 ‘주인’을 옳게 찾아 물어야 그에 관한 정보를 제대로 들을 수 있습니다. 산촌에서는 권역에 따라 네 산 내 산 나누는 관습이 어느 정도 형성돼 있다는 얘기입니다. 물론 법적인 소유..
투데이포항 기자 : 2014년 03월 07일
[포항의 산줄기]3. 산을 보는 두 시각
이 책이 하려는 작업의 중심은 옛 어른들이 전승해 온 산에 관한 명칭과 그분들의 근세 생활사를 채록하는 것입니다.
투데이포항 기자 : 2014년 02월 16일
[포항의 산줄기]2. 세상의 산줄기
산줄기 파악은 우리 문화 이해의 첫걸음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우리 생활문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쳐 온 것은 지형이고, 우리나라에서 그 지형을 결정하는 것은 산줄기이기 때문입니다. ..
투데이포항 기자 : 2014년 01월 04일
[포항의 산줄기]제1장 산의 이해- 1.개념이해
사람들은 흔히 산을 편하게 생각합니다. “산이 산이지 뭐 별 거 있겠느냐”는 식입니다. 워낙이 모두들 산 가까이서 살다 보니 그런가 봅니다. 등산을 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고 할 정도로 등산인구가 는 뒤에는 더욱 그런 듯합니다. 산에 가 본 적 없는 사람까지 덩달아 그런다는 생각이 들 때..
투데이포항 기자 : 2013년 12월 19일
[포항의 산줄기]<신년특집> 어떤 일을, 왜, 하려 하는가
우리 땅은 어딜 가나 산입니다. 광활한 평야지대가 펼쳐지는 딴 나라와는 사정이 다릅니다. 온전한 평야는 적고 산줄기 사이 사이에 분포한 골짜기 땅들이 논밭이 돼 줍니다. 산은 자연스레 한민족이 기대어 사는 바탕이 됐습니다. 산은 사람들의 생활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습니다. 큰 산..
투데이포항 기자 : 2013년 12월 18일
1

최신뉴스
영덕문화관광재단 전통탈춤수업 <파도 타고 탈춤 타고> 개..  
적십자봉사회 포항시협의회·㈜광우, 관내 취약계층 어르신..  
대한적십자사 경북지사, 고령군 어르신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  
“감옥 가더라도 김어준 죽이고 간다”… 김건희 발언 전언..  
(재)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APCTP 올해의 과학도서..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 “경제 살리고 집값 잡을 것..  
미래를 달린다! 경주에서 자율주행 셔틀버스를 만나보세요..  
경주시의 청년 창업 실험실 ‘新골든 창업특구’···누적 ..  
APEC 앞둔 경주, 기업 투자환경 대수술…조례 개정으로..  
“경주 바다, 여름을 맞는다”…오는 11일 해수욕장 일제 ..  
POSTECH, 고리형 펩타이드 합성 첫 성공… 차세대 의..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국제물리학술지 AAPPS Bull..  
구미시, 2025 라면축제 앞두고 첫 공식 간담회 개최..  
구미 원도심에 활력! 중앙로동문상점가, 도약의 날개 달아..  
경북도 동락관 기획 ‘센치한 여름밤의 플레이리스트’썸머 ..  
실시간 많이본 뉴스  
경북도의회 도의원 박채아, 우박 피해 농가 돕기에 앞장..
LIG넥스원㈜, CIWS-Ⅱ 양산시설 준공..
구미시, '선산 산림휴양타운' 기공…산림관광도시 본격 시동..
한동대, 2025년 여름학기 글로벌로테이션프로그램 본격 시..
[성명서] 국민의힘은 영일만대교를 정쟁의 도구로 악용하지 ..
예수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경북 산불 이재민 위해 가전제..
포항, 대한민국 AI강국 도약 이끈다! 글로벌 AI컴퓨팅센..
도시민·귀농귀촌인 화합의 장 … 포항시, ‘퍼뜩온나 기북마켓..
POSTECH 박경덕·노준석 교수 연구팀, 2차원반도체 발광..
포항시, 교육 소외계층 대상 ‘2025년 평생교육 이용권’ ..
회사소개 편집규약 개인정보취급방침 고충처리인제도 윤리강령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구독신청 제휴문의 광고문의 찾아오시는 길
상호: 미디어경북 / 발행인·편집인: 이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506-81-85127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257
주소: 경북 포항시 남구 대이로 5번길 14(대잠동), 3층
mail: mediagb02@gmail.com / Tel: 010-5665-4369 / Fax : 0504-482-4593/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석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함 / 마케팅 담당자: 이준혁 (010-250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