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이 하나의 상징이 된다는 건 불행한 일일지 모른다. 그건 아무도 가지 않은 수난의 길을 혼자서 뚜벅뚜벅 걸어갔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그가 최후에 내던진 목숨은 오롯이 블랙홀과 같은 상징으로 수렴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름이 하나의 상징이 되는 건 특별한 ..
우리가 뿌리내리고 있는 일상은 마치 장미꽃과 같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우리는 고정된 루틴에 따라 삶의 공간을 영위해가고 형식적인 관계 속에서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간다. 그리고 채워질 수 없는 욕망에 얽매이거나 비속한 돈의 지배를 받으며 살아간다. 이에 대해 프..
자신이 나고 자란 고향에서 농사를 짓고 사는 사람이 있다. 경북 영천 출신의 이중기 시인이다. 사실 그에게 농부와 시인은 다른 존재가 아니라 동의어에 가깝다. 농부란 하늘과 땅의 말에 귀 기울이고 섬겨서 자기와 세상을 살찌우는 존재이니, 우주의 말을 받아적으며 자기와 ..
“말은 민족의 정신이요, 글은 민족의 생명입니다.” 2019년에 개봉된 엄유나 감독의 영화 〈말모이〉에 나오는 대사다. 잘 알다시피, 이 영화는 일제 말기 암흑기 상황 속에서 우리의 말과 글을 수호하고자 했던 조선어학회의 사전편찬작업을 모티프로 하고 있다. 이 사전..
사람은 누구나 두 개의 입을 가지고 산다. 하나는 육체에 달린 입으로, 나날이 생존을 위한 음식을 먹는다. 그래서 끼니라는 말에는 얼마나 처절한 피로와 짙은 고달픔이 배어있는가. 다른 하나는 영혼에 달린 입으로, 종종 실존을 위한 음식을 먹는다. 그래서 허기라는 말에는..
최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로 떠들썩한 가운데 다음과 같은 말이 매스컴에서 논란이 된 적이 있다. “후쿠시마, 거기에 대해서 나오는 거 보십시오. 도대체가 과학이라고 하는 건 1+1을 100이라고 하는 사람들이니까. 이런 세력들하고 우리가 싸울 수밖에 없습니다.”..
2011년 8월 15일에 방영된 2부작 드라마 <절정>은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인 이육사의 항일무장투쟁을 그린 작품이다. 제목은 목숨을 위협받는 극한 상황에서도 꺾이지 않는 정신적 의지를 노래한 그의 대표작 <절정>에서 가져왔다. 이 드라..
내일이나 미래와 같은 말만큼 달콤하고 중독적인 말이 있을까. 그 말을 듣는 순간, 우리는 굶주린 마음을 든든하게 할 양식이 이 세상 어딘가 가득 쌓여 있을 것 같은 기분에 사로잡히기 마련이다. 그 때문인지 우리는 언젠가부터 현재의 행복을 아득한 미래로 유예하려는 버릇에..
필자는 현재 선생님이 될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강의실에 들어설 때면 이들의 형형한 눈망울에서 예비교사라는 뚜렷한 목표 의식을 감지하곤 한다. 그럴 때마다 필자는 이들에게 좀 더 정확하고, 풍부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부쩍 어깨에 힘이 들어간다. 어쩌면 이들에게 전달..
“우리는 일회용품이 아니다.” 2006년 프랑스 전역을 수놓은 시민운동의 현장에서 시민들이 외친 구호 중 하나이다. 익히 알려졌다시피, 이 운동은 당시 프랑스 정부가 내세운 최초고용계약(CPE)에 관한 법, 즉 ‘고용인이 26세 이하의 피고용인을 채용한 후 2년의 시..
가끔 당신의 다친 마음에서는 검은 피가 줄줄 흘러내릴 때가 있다. 그럴 때면 당신은 마음의 수혈을 할 만한 장소를 찾으려고 바깥을 두리번거렸을 거다. 그 하나의 장소로 우린 새벽시장을 꼽을 수 있지 않을까. 거기에 가면 다친 마음들이 건강한 육체에 기대고 있어서 좀처럼..
살다보면 누구에게나 특별한 조직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 뜻하지 않은 통과의례를 거치기 마련이다. 필자에게는 대학 입학 전 오리엔테이션 때 그러한 순간을 맞이한 기억이 있다. 그날 나와 한 조를 이룬 동기들은 선배들이 학내에 미리 설계한 코스들을 돌며 각각의 코스에서 주..
민주주의의 역사는 얼굴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민주주의의 조건이 이른바 자유와 평등에 달려있다면, 누구나 동등한 얼굴을 인정받고 누구나 인간다운 얼굴을 보장받는 게 민주주의 사회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인간에게 속하는 가장 본래적인 징표 중 하나가 바로 얼굴인..
우리나라에는 최초로 사람의 이름을 딴 기차역이 있다. 바로 경춘선을 잇는 김유정 역이다. 어쩌면 소설가 김유정을 모르는 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순박하면서도 애처로운 느낌이 물씬 드는 그의 소설 〈동백꽃〉, 〈봄·봄〉을 모르는 이는 아마 없으리라. 그만큼 김유정의 소설은..
봉준호 감독의 명작 〈설국열차〉(2013)에는 인류 역사의 축도라고 할 만한 열차가 등장한다. 바로 이 열차의 꼬리칸은 자본을 가지지 못해 빈곤에 허덕이는 피지배층이 거주하는 곳이고, 머리칸은 자본을 가지고 있어 풍요를 누리는 지배층이 거주하는 곳으로 설계되어 있다. ..
목전의 4월은 마치 캄캄한 터널로 향하는 입구와 같다. 그 터널로 들어서자마자 한 줄기 빛이 쏟아지는 출구로 가닿기까지는 별수가 없다. 그저 눈앞의 어둠을 응시한 채 오직 내 몸에서 들려오는 미세한 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다. 엄연히 말해 그 소리는 불명확한 신..
인간이 공간을 만들기도 하지만, 공간이 오히려 인간을 만들기도 한다. 공간을 향한 인간의 각별한 지향성 때문이다. 그걸 우리가 토포필리아(Topophilia)라는 말로 부른 지도 오래되었다. 중국 태생의 지리학자 이-푸 투안(Yi-Fu Tuan)은 이제 이 분야의 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