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소장 사사키 미사오, 이하 APCTP)는‘APCTP 올해의 과학도서 저자강연’의 7회차 강연을 오는 8월 21일(목) 오후 7시, 구미어린이과학체험관 양포도서관 1층 강당에서 개최한다. 이번 강연에는 『한국인의 기원』의 저자 박정재 교수(..
포항시청소년재단 상담복지센터 내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는 오는 18일 포항시청소년수련관에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맞춤형 ‘2026학년도 대학입시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총 2부로 진행되며, 1부에서는 검정고시 입시전문가 강예은 대표(진학컨설팅 MY UNI)가 ..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산업인공지능프로그램과 융합대학원 산업데이터사이언스전공은 오는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간 박태준학술정보관에서 ‘자율제조 구현 및 생성형 AI 실무 활용 교육’을 개최한다. 최근 제조업계에서는 생산 효율과 비용 절감을 위해 ..
한동대학교(총장 최도성)는 지역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오는 2025년 2학기 (9월) 부터 운영하는 ‘지역혁신 집중학기’ 교과목에 지역 주민을 참여자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는 대학이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재)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소장 사사키 미사오, 이하 APCTP)는 서울대학교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핵융합 실험과 우주플라즈마 이론을 융합, 미시적 난류가 거시적 자기 구조 변화를 유도하는 ‘플라즈마 다중 스케일 문제(Multiscale Problem)’를 해결했다고 ..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성준화·전영선 씨, 박사 양영환(現 국립창원대 조교수) 연구팀이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 연구팀과 함께 눈에 보이는 모든 색의 빛을 자유롭게 다루면서 기존 반도..
경주시가 지난 7일 교육부로부터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최종 지정되며, 미래형 교육 혁신 도시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이번 지정은 경주시가 지난해 교육발전특구 2차 공모에서 예비 지역으로 선정된 데 이어, 올해 교육부의 재평가를 통과해 시범지역으로 승격된 ..
경북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다음 달 22일까지 여름방학 동안 도내 모든 초등학교 466교를 대상으로 ‘여름방학 중 늘봄학교 현장 점검 및 지원’을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방학 중에도 아이들의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고 내실 있는 프로그램 운영..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박문정 교수, 화학과 민재민 박사, 통합과정 이호준 씨 연구팀이 전복 껍데기에서 영감을 받아 고무처럼 유연하면서 강철처럼 단단하고, 전기까지 잘 저장하는 소재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나노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이 버려지는 식물 열매껍질에서 얻은 천연 소재로 고성능 수퍼커패시터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충전 시간은 빠르지만 에너지 저장용량이 부족한 기존 커패시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저장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
포항시 장량동에 위치한 환동해지역혁신원 제1캠퍼스 '파랑뜰'이 개원 1주년을 맞아 지역 밀착형 복합 문화공간으로서의 성과를 입증했다.포항시 지원으로 운영되는 파랑뜰은 2024년 7월 개관 이후 지난 1년간 약 4,000명의 포항시민들이 방문하며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이 현지시간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KIC-워싱턴(Korea Innovation Center Washington)과 함께 미국 워싱턴에 스타트업 공유 오피스를 개소하며,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홍석봉 교수가 국제제올라이트협회(이하 IZA, International Zeolite Association)의 최고 권위상인 ‘IZA Award(Ambassador Award)’를 수상했다. 이 상은 제올라이트 과학 및 기술 ..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은 경상북도와 함께 지역 고등학생을 위한 반도체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며, 경북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 구축에 나섰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 하나로양자과학연구소(소장 정영욱) 양성자과학연구단(단장 이재상)은 경상북도가 202..
한동대학교(총장 최도성)는 김강산·김동신·이세리(ICT창업학부)와 김경석(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학생으로 구성된 팀이 2025년 대구권 유니코어 기술창업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우수상(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우주쓰레기에 ..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이 유네스코(UNESCO)가 주도하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제 과학 10년(International Decade of Scien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DSSD, 2024-2033)’ 공식 프로그램에 국..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반도체공학과 이장식 교수, 도현서 학생(학부 3학년) 연구팀이 오래 사용해 성능이 떨어지는 ‘피로현상’을 겪는 반도체 부품을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IEEE 전자 소자 학회 저널(IEEE Jo..
(재)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소장 사사키 미사오, 이하 APCTP)는 ‘APCTP 올해의 과학도서 저자강연’의 다섯 번째 강연을 오는 7월 17일(목) 오후 7시에 개최한다. 강연은 구미어린이과학체험관 양포도서관 1층 강당*에서 진행되며, 『찬란한 멸종』의 저자 이정..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매일 바쁘게 일하는 '단백질 공장'이 수십억 년 만에 새로운 기술을 익혔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이준구 교수 연구팀이 리보솜을 이용해 기존의 선형을 넘어 고리형 구조를 포함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
(재)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사사키 미사오 소장, 이하 APCTP)가 지원하는 국제물리학술지 AAPPS Bulletin(롱귀루 편집장)이 미국 클레리베이트(Clarivate)社의 2024년 Journal Citation Reports(JCR에서 첫 임팩트 팩터(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