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 장면이 담긴 CCTV 공개와 `가짜뉴스 유튜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에 압도적 다수가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검찰과 前 정부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임계점에 달했다는 분석이다.   여론조사꽃이 8월 22일부터 23일까지 실시한 정례 여론조사(CATI·ARS 방식)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관련된 주요 현안 및 가짜뉴스 규제에 대한 국민들의 단호한 인식이 드러났다.   "윤석열 체포 장면 CCTV, 공개하라" 70% 육박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 당시 서울구치소 CCTV 공개 여부가 전국적 분노의 뇌관이 되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절반을 넘는 국민이 “CCTV를 즉각 공개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국민은 “숨기려는 자가 범인”이라는 심리를 드러냈다. 특히 30~50대와 수도권·호남에서 공개 요구가 폭발적으로 높았다. 반대는 오직 보수 지지층에서만 강하게 나타났을 뿐이다. 전문가들은 “국민이 더 이상 ‘특권층만의 법치’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신호”라고 진단했다.       `검찰, 건진법사 뇌물 수수 의혹 밝힐 관봉권 띠지 분실`…국민 71% "고의적 증거인멸" 서울남부지검의 건진법사 돈다발 수사에서는 충격적인 여론이 확인됐다. 현금 다발을 감싸고 있던 한국은행 관봉권 띠지와 스티커가 통째로 사라진 것이다. 이 띠지에는 자금 출처를 밝혀낼 핵심 단서들이 기록돼 있었다. 그러나 검찰은 “실무자 단순 실수”라는 답변만 내놨다. 하지만 여론은 달랐다. 절반 이상이 “고의적 증거인멸 가능성이 높다”고 답하며 검찰을 향한 불신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일반 시민이 증거를 잃어버렸다면 곧바로 구속했을 것”이라는 격앙된 반응이 조사 전반에 퍼져 있었다.     尹 정부 원전 계약, "국익 포기한 졸속 계약" 54% 윤석열 정부 시절 추진된 원전 계약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응답자의 과반은 “불공정 계약이 실제로 있었다”며 재조사와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원전은 국가 기간산업이자 국제적 신뢰와 직결되는 사업이다. 그럼에도 특정 기업에 유리하게 짜인 계약 정황이 드러난다면 이는 단순 행정실수가 아닌 정권 차원의 비리라는 것이 국민적 판단이다. 충청과 영남, 그리고 원전 인근 지역에서도 불만이 쏟아져 “지역 경제를 볼모로 한 정권의 장난”이라는 거센 반발이 나왔다.     "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손배로 잡아야" 82% 찬성 여론은 가짜뉴스 유튜버에 대해서도 단호했다. 절반 이상이 “악의적이고 고의적인 허위방송에는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단순 실수가 아닌 ‘조회수 장사용 거짓말’은 사회적 비용을 키우는 범죄라는 인식이 자리 잡은 것이다. 젊은 세대일수록, 또 중도층일수록 “표현의 자유 뒤에 숨은 범죄”를 강하게 규탄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윤석열 前 정부 시절의 주요 결정과 의혹에 대한 국민들의 싸늘한 시선, 그리고 사법기관에 대한 깊은 불신을 여실히 보여준다. 동시에, 진영 논리를 떠나 사회적 해악으로 자리 잡은 `가짜뉴스` 문제에 대해서는 강력한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는 국민적 합의가 존재함을 명확히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