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28일 멕시코 타마울리파스주 알타미라시에 연산 50만톤 제2자동차강판(CGL)공장을 준공했다.2009년 연산 40만톤 규모의 공장을 가동한 포스코는 제2공장을 추가 준공해 총 90만톤 규모의 자동차강판 생산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멕시코 자국 기업인 테르니움에 이어 제2의 자동차강판 철강사로 부상했다. 이 공장은 고급 자동차외판재로 사용되는 아연도금강판을 100% 생산함으로써 고급 자동차강판 메이커로는 멕시코에서 최대규모를 자랑한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인 GI Ace, 780Mpa(79.6kgf/㎟) AHSS강을 생산해 현지 자동차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GI Ace는 일반강판대비 도장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고 AHSS강은 가벼우면서 외부충격에 강해 선진 자동차사로부터 수요가 늘고있는 최고급 강판이다.이날 준공식에는 포스코 정준양 회장과 에지디오 토레 칸투 타마울리파스 주지사, 일데폰소 과하르도 비야레알 경제부장관 등 멕시코 정부 주요 인사와 홍성화 멕시코 대사, 도요타, 혼다, 닛산, 폭스바겐 등 주요 고객사 임직원 등 30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포스코 정준양 회장은 “제2자동차강판 공장은 1981년 멕시코 사무실 설립부터 포스코와 멕시코가 함께 걸어온 우정의 길이 이어진 것”이라며 “성공적 공장 준공을 위해 많은 지원을 해준 정부 관계자와 고객사, 공급사께 감사드리고 최고 품질 자동차강판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멕시코는 인건비가 저렴하고 세계 최대 자동차 소비지역인 북미가 인접해 최적의 생산지역으로 꼽힌다. 이런 장점으로 폭스바겐, 크라이슬러, GM, 르노 닛산 등 글로벌 자동차사가 진출했고 오토텍, 벤틀러 등 1000여 개 글로벌 부품회사가 밀집해 있다. 특히 작년 약 240만대 자동차를 수출한 세계 5위권 자동차 수출국으로 부상해 올해도 혼다, 마쯔다, 닛산 등 생산라인 신설과 증설이 이어지는 등 자동차강판 신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멕시코자동차협회는 향후 5년내 400만대 이상을 생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