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태권도 가족들의 화합과 우정의 축제 ‘세계태권도한마당’이 포항시에서 성대한 막을 올린다.오는 21일부터 24일까지 나흘간 열리는 ‘2014 세계태권도한마당은 총 12개 종목 59개 부문에서 경연을 펼친다.올해 한마당 참가국은 아시아 25, 유럽 11, 아프리카 5, 아메리카 9, 오세아니아 3개국 등 총 53개국 3359명이 참가한다.당초 55개국으로 역대 최다 참가국 기록을 경신했었지만 국제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에볼라출혈열로 인해 발병국인 나이지리아와 인접국가인 가나 등 2개국의 참가를 불가피하게 제한했다.1992년 첫발을 내디딘 한마당은 ‘태권도로 하나되는 세상’이라는 슬로건 아래 국기원 단(품)증을 소지하고, 참가국적 또는 영주권 있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어 여느 태권도 대회와는 차별화된 축제로 인식되고 있다.태권도의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을 목적으로 발전시킨 겨루기 일변도를 지양하면서 격파,시범, 품새(공인, 창작) 등 태권도가 지닌 다양한 가치를 확대 발전시키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공인품새의 경우에도 복식, 단체에 중점을 두고, 개인전은 품새의 성인 수련층 활성화를위해 40세 이상 3개 부문만 허용하고 있다.한마당은 개인전 △위력격파(주먹, 손날, 발) △종합격파 △기록경연 △공인품새, 단체전△공인품새(복식, 단체) △창작품새 △태권체조 △팀 대항 종합경연 등으로 나눠 열린다.우선, 태권도 고수들의 최고 권위로 일컬어지는 남자 공인품새 마스터 Ⅱ(60세 이상)에서는 이규현(68) 사범이 3연패를 달성할 수 있을 지 이목이 집중된다.세계품새선수권대회 7회 우승(2006~2013, 2011 제외)의 금자탑을 쌓았던 서영애(53) 사범도 국내 여자 공인품새 마스터 Ⅰ에 참가, 정상 도전에 나선다.또한 ‘한마당의 백미’로 불리는 주먹과 손날격파 3개 부문에도 최강자 자리를 두고 태권도 고수들이 총출동한다.지난해 국내 주먹격파 마스터 통합 부문 우승자 배길재(51) 사범을 비롯해 왼팔목이 없는 장애를 극복하고 격파의 고수로 인정받는 고복실(54) 사범, 2012년 손날격파 마스터 통합 부문 우승자 김호진(54) 사범, 지난해 우승자 배진복(54) 사범 등 내로라하는 위력격파의 고수들이 한마당 정상을 차지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특히 지난해 한마당에서 걷기에도 불편한 하지절단장애에도 불구하고 해외 손날격파 시니어 Ⅲ 부문에서 정상에 오른 미국의 크리스토퍼 블로벨트(48) 씨는 지난해 참가했던 손날격파 부문이 아닌 공인품새 시니어 Ⅲ 부문에 새롭게 도전하며 장애를 뛰어넘는 열정을 불태운다.젊은이들의 패기를 확인할 수 있는 국내 팀 대항 종합경연 시니어 통합 부문은 4연패를 달성하며 정상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세한대학교의 아성을 무너트릴 팀이 나타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올해 한마당 최고령자는 미국 국적의 허흥택(69) 사범이며, 최연소자는 선지환(5) 군이다.올해 한마당은 축제의 의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채로운 부대행사를 마련했다.한마당 역대 최초로 열리는 ‘태권갈라쇼’는 한마당 셋째 날인 23일 오후 8시부터 9시까지 포항체육관에서 펼쳐진다.한마당 역대 우승자와 참가자들이 함께 펼칠 갈라쇼는 포항의 ‘연오랑 세오녀’ 설화를 스토리화해 ‘마술과 태권도’ ‘IT와 태권도’ ‘와이어 액션과 태권도’ 등으로 구성, 옴니버스 형태로 진행된다.이밖에도 스페인밀레니엄합창단의 내한공연, 온라인 격파왕, 발차기 스피드 대결, 가상현실 태권도 체험 등 부대행사가 열려 한마당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 전망이다.한마당의 개회식은 21일 오후 4시 홍문종 이사장, 정만순 원장을 비롯한 국기원 관계자와 이강덕 시장 등 포항시 관계자, 김관용 경북도지사, 태권도 유관단체 임직원, 태권도 원로, 태권도계, 체육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