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는 음식물 쓰레기 폐수(이하 음폐수)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 음폐수 병합처리시설 설치를 추진해 왔으나 처리 용량을 넘어서는 음폐수 처리에 고심하고 있다.포항시의 하루 평균(7월 기준) 음폐수 발생량은 140여톤으로, 이 중 90톤은 음폐수병합처리시설에서 처리하고 나머지는 울산시의 해양투기업체에 위탁 처리해 왔다.그러나 최근 해양수산부의 해양투기 쿼터량 제한으로 더 이상 포항시를 비롯한 타 지자체의 음폐수 처리가 불가능해 8월 17일까지만 처리하겠다고 통보해 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는 상황이다.이에 포항시는 음폐수 처리 대책을 수립하여 음식물 쓰레기 대란을 피하기 위해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해양수산부 및 환경부를 방문해 울산시 해양투기업체에서 당초 계획인 8월 31일까지 음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조치해 줄 것을 요구했다. 12일에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대행업체 긴급 간담회를 가지고 다량배출사업장의 음식물 쓰레기는 민간 처리업체를 이용하여 처리하기로 했다.또 중앙부처와 협의하여 관내 소재하고 있는 해양처리 허가업체가 허가 받은 쿼터량 중 잔여 쿼터량에 대해서는 음폐수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음폐수의 고형물과 유분을 회수 처리하는 전처리 시설을 설치해 음폐수병합처리 시설의 처리 효율을 극대화 해나갈 예정이다.특히 응급상황 발생에 대비해 자체 임시 저장조 650톤과 음식물폐기물처리 대행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300톤의 임시저장시설 등 20일 가량의 음폐수를 저장할 수 있는 950톤의 임시 저장조도 확보해 놓고 있다.이런 가운데 13일 환경부로부터 폐수처리장의 질소처리를 위한 유기탄소원으로 음폐수가 사용 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에 포항시는 관련업체와 합동으로 조사해 자체적 사용방안에 대한 연구 및 검증을 통해 사용유무를 판단할 예정으로 이것이 가능하게 된다면 장기적으로 포항시 음폐수 문제는 모두 처리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포항시는 음식물류폐기물의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있는 포항시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설치를 위해 입지선정, 처리방식 등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도 추진 중에 있다.포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위원장 김일만)에서도 지난 16일 긴급 위원회를 소집해 음식물쓰레기 및 음폐수 처리 대책 마련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