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지역농산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통활성화를 위해 법적, 제도적 뒷받침을 마련했다.시는 기존 개별 운영되던 산지유통조직을 단일화한 포항시 연합유통사업단을 조직 운영해 농업유통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농산물의 시장 교섭력 강화 및 유통 선진화체계 구축으로 농촌의 소득향상과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이와 관련해 지난달 포항시의회 임시회에서 포항시 연합유통사업단의 효율적인 운영과 예산지원의 법적, 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포항시 연합유통사업단 육성 및 지원 조례안’이 원안의결돼 통합마케팅 조직운영에 한층 힘이 실리게 됐다.조례의 주 내용은 △시 유통정책 및 사업방향 의사결정을 위한 산지유통활성화 협의회설치 △연합유통사업단 육성 △연합유통사업단 및 참여조직 평가 △연합유통사업단에 대한 지원 등이다.이에 앞서 시는 산지유통시설운영 효율성을 제고하고 마케팅 창구 일원화를 위해 지난해 6월 농식품부로부터 3단계 산지유통종합계획을 승인받아 진행하고 있다.포항시 산지유통종합계획을 보면 1단계 도약기(2012~2013년)에 연합사업 기반구축을 위한 사과, 단감, 토마토 등 기존 생산조직의 수발주를 포항시 연합유통사업단으로 통합했으며 사과를 중심으로 한 유통사업단 매출액 100억원을 달성했다.2단계 도약기(2014~2015)에는 기존 사과에 시금치, 부추 수발주 통합으로 매출액 2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또, 3단계 성숙기(2016~2017)에는 2016년 포항시 연합유통사업단을 조합공동사업법인으로 전환하고, 흥해농협 RPC를 양곡 거점유통조직으로 지정하는 등 양곡사업 수발주 및 사업물량의 단계적 확대를 통해 사업운영 활성화할 방침이다.이를 기반으로 법인 운영의 내실화 및 참여조직의 정예화를 도모해 매출액 3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항시 관계자는 “FTA체결에 따른 시장개방화와 유통환경 변화에 적응력을 키우기 위해서 타 자치단체보다 한 발 앞서 조례를 제정하고, 지역민과 함께하는 자구책을 강구하게 됐다”고 말했다.한편 포항시 연합유통사업단을 통해서 출하되는 농산물은 포항시가 품질을 인증하는 ‘영일만 친구’브랜드를 달고 전국으로 출하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