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포항제철소 내 직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지난 15일 오후 포항제철소 현장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하는 등 그 파장이 포스코 전체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포항남부경찰서는 지난 15일 오후 포항제철소 내 안전 및 제품 출하 등 3개 부서에 직원들을 보내 밤늦게까지 서류와 컴퓨터 파일 등을 압수했다고 밝혔다.
경찰관계자는 “현재 포항제철소 직원 사망 사고를 두고 ‘산재 은폐 주장’ 등 여론이 분분한 만큼 압수한 업무 매뉴얼과 작업일지 등을 철저히 분석해 당시 근무 상황과 사고 후 구호 여부, 감독자 과실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다”며 “곧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결과가 나오는 만큼 사망원인이 어느 정도 밝혀 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지난 1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는 민주노총전국금속노조와 포스코바로잡기운동본부, 정의당 추혜선의원 등이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포항제철소의 산재 은폐 의혹을 주장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포항노동지청과 경찰이 포스코 편들기를 한다”며 “이제는 국회가 나서 책임자를 처벌하고 재발방지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포스코가 수많은 산업재해사고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개선 노력도 없다는 의구심을 떨쳐버릴 수 없다”며 “포스코 노동자들의 노동환경 전반에 대한 특별근로감독과 국회차원의 진상조사가 있어야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포항시북구지구당도 지난 8일 성명을 내고 포스코 산재 은폐 의혹 주장과 함께 포스코는 사건 경위를 명명백백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포항제철소 직원 사망 사고가 고(故) 김용균씨 사망 사고과 함께 노동계, 정치권 등으로 확산되자, 포스코가 전 근로현장에 대한 긴급 안전 점검에 나서는 등 사태가 확산되지 않도록 분주한 모습이다.
한편 설 연휴 첫날인 지난 2일 오후 5시40분경 포항제철소 내부에 있는 35m 높이의 부두 하역기 근처에서 포항제철소 직원 A씨가 근무 중 쓰러져 병원으로 옮겼으나 숨졌다.
이 사고를 두고 유족들은 1차 부검결과 사망 원인이 ‘장기 파열로 인한 산업 재해’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는 반면 포스코측은 사고 직후 낸 성명을 통해 “충돌 흔적이 없고 외상이 없었던 점을 종합해 보면 근무 중 사고에 의한 재해는 아니라고 추정된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