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좋아하시나요? 좋아하신다면 어떤 종류의 운동을 좋아하세요? 참고로 저는 격투기를 좋아합니다. 아! 이번 글의 주제는 ‘선택’이니 운동 안 좋아하셔도 글을 계속 읽어 보세요.저는 어릴 때 태권도를 했습니다. 대학교 다닐 때는 태권도 동아리 회장도 했고요. 그래서 그런지 아직까지 킥복싱이나 주짓수, MMA(종합격투기: Mixed Martial Arts)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잘하는 건 아니고 건강을 위해서, 혹시나 불의의 상황에서 제 몸을 지키기 위해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제가 10년 정도 운동했으니까 얼마나 많은 체육관을 다녔겠습니까! 세상 일이 다 그렇지만 내 마음에 딱 드는 체육관은 없습니다. 괜찮은 체육관이 있어서 2년 넘게 다녔는데 취업과 이사로 그만두기도 하고요, 너무 초보자 위주의 수업, 1시간 수업을 들어도 몸에 큰 자극이 없어서, 기존 관원들의 텃세가 있어 그 무리 속으로 들어가기 어려운 문제, 체육관에 향(인센스스틱)을 피워서 머리가 지끈 아프기도 하고, 너무 가고 싶은데 체육관 거리가 멀어서, 관장님이 너무 강압적이거나 등 체육관마다 나와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죠. 제가 좋아하는 운동(격투기)은 혼자 할 수 없기 때문에 체육관에 가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와 맞는 체육관을 잘! 선택하는 게 중요하죠.우리들은 보통 직관적으로 선택하고, 의사결정합니다. ’오늘 점심은 음... 돈가스 먹을까?‘ 이런 거죠. 그리고 이성보다는 감성에 많이 이끌립니다. 매장에서 옷을 고를 때 내가 준비한 예산보다 더 비싸도 내 눈에 예쁘면 구매한 경험이 있을 겁니다. 직관과 감성으로 선택해도 되지만 한 번씩 내가 무엇인가를 선택해야 하거나 의사결정해야 할 때 ‘아... 이거는 내가 좀... 생각해 봐야 되겠는데’ 하는 것들이 있으시죠? 크게 구분하면 두 가지입니다.1.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안(案) 중에서 한 가지 또는 몇 가지를 선택해야 할 때2. 해야 할 것들이 많은데 그중에서 무엇을 먼저 하고, 무엇을 나중에 할 건지 의사결정할 때자, 잠시 생각을 해봅시다. 우리가 선택이나 의사결정을 할 때 왜 생각을 좀 하려고 할까요? 왜 고민을 할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돈이나 시간 등의 자원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돈과 시간이 넘쳐나면 고민을 할 필요가 없죠. 그냥 내 맘대로 다하면 되니까요.공감되시나요? 우리 모두가 경험했고, 지금도 경험하고 있는 일이라서 공감하실 겁니다. 그래서 이제부터는 제가 어떻게 하면 제대로 선택할 수 있는지 최선의 선택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제대로 의사결정하는 방법은 다음 글에서 다루겠습니다. 제가 수십억을 번 사업가나 투자자는 아닙니다. 특별하게 어떤 분야에서 성공을 한 잘난 사람도 아닙니다. 하지만 여러분 중에 어느 누군가가 우유부단해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할 때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한다면 제 방법이 확실히 도움이 될 겁니다.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안(案) 중에서 한 가지 또는 몇 가지를 선택해야 할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일단 이 표를 보세요. 표를 쓱~ 보면 바로 감을 잡으실 수 있습니다.* 선택 매트릭스 예시: 나에게 맞는 체육관 선택하기무엇인가를 선택해야 할 때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적어보세요. 저는 체육관을 고를 때 집과의 거리, 수업 시간 및 프로그램, 체육관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중요 요소를 적었다면 그게 나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1점에서 10점까지 중요도를 매겨 봅니다. 굳이 10점 척도가 아니라 5점 척도로 1점에서 5점까지 매겨도 되고, 3점 척도로 1점에서 3점까지 매겨도 됩니다. 너무 고민하지 말고 직관적으로 ‘아~ 이건 10점, 이건 5점’ 이렇게 매기면 됩니다. 체육관을 선택할 때 제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집과의 거리’이기 때문에 중요도를 10점으로 정했습니다. 깔끔한 인테리어, 좋은 매트와 샌드백, 샤워실 등 ‘체육관 환경’도 어떻게 보면 중요한 부분이겠지만 제게는 그리 중요한 요소는 아니라서 중요도를 5점으로 정했습니다.중요 요소와 중요도를 정했다면 선택 안(案)의 점수를 매겨봅시다. 나에게 맞는 체육관을 선택하기 위해서 파이팅 체육관, 세지는 체육관, 지키는 체육관에 직접 가서 상담을 받아 봤습니다. 수업 시간과 프로그램을 보니 파이팅 체육관은 10점 만점에 8점, 세지는 체육관은 6점, 지키는 체육관은 5점입니다. 기준은 10점 만점이 아니라 5점 만점이나 3점 만점 등을 해도 됩니다.이제 중요도를 고려해서 점수를 매겨봅시다. ‘수업 시간, 프로그램’의 중요도는 내가 ‘8점’으로 지정했으니 파이팅 체육관의 수업 시간, 프로그램 점수는 64점(내가 매긴 선택 안의 점수 8점 X 중요도 8점), 세지는 체육관은 48점, 지키는 체육관은 40점입니다. 이런 식으로 중요 요소 및 중요도를 고려해서 각 선택 안(案)의 점수를 모두 매겨 총계(Total)를 계산합니다. 계산해 보니 세지는 체육관이 153점으로 가장 높아서 저는 세지는 체육관에 운동 등록을 했습니다.이해되시나요? 총계(Total)를 바탕으로 우리는 여러 가지 안(案) 중에서 한 가지 또는 몇 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지만 이게 제대로 최선의 선택을 하는 방법입니다. 웃픈(웃기고 슬픈) 이야기지만 이렇게 선택을 해도 우리는 사람인지라 ‘아... 이걸 내가 왜 선택했을까?’하고 후회를 하죠. 내가 선택을 한 뒤에 후회하지 않고, 성장하려면 2가지의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첫 번째는 ‘감수하겠다.’입니다. 가령 수업 시간 및 프로그램은 세지는 체육관(48점)보다 파이팅 체육관(64점)이 높아서 아쉽지만 ‘이 부분은 내가 기꺼이 감수하겠다.’라고 마음을 먹어야 후회와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항상 그렇지만 남의 떡이 더 커 보이는 법입니다.두 번째는 ‘이번 선택의 결과를 다음 선택에 반영하겠다.’입니다. 피드백을 반영해서 개선하는 거죠. 예컨대 ‘내가 체육관에서 운동을 해보니 수업 시간과 프로그램은 참 중요한 것 같다. 다음에 체육관 선택할 때는 중요도가 8점이 아니라 10점으로 올려야 되겠다.’ 또는 ‘운동을 지도하는 관장님과 코치님의 경력도 중요한 부분인 거 같네. 이번에 선택할 때는 이 부분을 미처 생각하지 못했는데 다음에 선택할 때는 이 부분을 중요 요소로 넣어야 되겠다.’입니다.쉽죠? 제가 체육관을 예로 들었지만 여러분이 회사에서 여러 업체 중에서 어떤 업체를 선택해야 할 때나 자동차를 살 때, 집을 구할 때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조건과 상황에 맞게 합리적으로 선택하세요.저는 지금 다니고 있는 세지는 체육관(가명)에 매우 만족합니다. 비록 샤워실은 없지만 집에서 가깝고, MMA 전문 체육관은 아니지만 주짓수 전문 체육관이고 킥복싱도 하거든요. 이사만 가지 않는다면 꾸준히 다녀서 주짓수 블루 벨트로 승급하고 싶습니다.◎ 생각해 보기1. 요즘 여러 가지 안(案) 중에서 선택을 고민하고 있는 게 있나요? (ex. 핸드폰 바꾸기, 퇴근한 뒤에 취미 생활을 무엇으로 할까? 등)2. 선택해야 하는데 주저하는 이유가 뭔가요? (ex. 후회할까 봐,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서 등)3. 선택을 고민하고 있다면 ‘선택 매트릭스’를 활용해서 결정해 보세요.4. 선택을 했다면 ‘아쉬운 부분은 내가 기꺼이 감수하겠다.’, ‘이번 선택의 결과를 다음 선택에 반영해서 개선하겠다.’라고 마음을 먹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