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8월 15일에 방영된 2부작 드라마 <절정>은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인 이육사의 항일무장투쟁을 그린 작품이다. 제목은 목숨을 위협받는 극한 상황에서도 꺾이지 않는 정신적 의지를 노래한 그의 대표작 <절정>에서 가져왔다. 이 드라마 초반부에는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장면이 하나 있다. 바로 이육사가 신문물을 배우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갔을 당시 관동대지진을 경험하는 장면이다. 물론 이육사가 일본 유학을 간 시기는 그보다 수개월 뒤인 1924년 4월로 알려져 있다는 점에서 이 장면은 드라마의 연출로 빚어진 허구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우리는 역사적 사실의 왜곡을 문제 삼을 수 있을 테지만, 그보다 이러한 극적 전개가 겨냥하는 의도가 무엇인지 물어야 할 것이다. 말하자면, 이 드라마에서는 이육사가 일본 제국주의의 실상을 목도하고 항일무장투쟁에 돌입하게 되었다는 필연성을 가미하기 위해 관동대지진의 참상으로 그를 몰아넣은 셈이다.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딱 100년 전인 1923년 9월 1일, 일본 간토지역을 공포와 충격의 도가니로 만들어버린 대지진이 일어났다. 이날 진도 7.9 규모의 대지진은 때마침 점심 준비에 한창인 목재 건물을 덮치기 시작하면서 45만여 가구를 불태워버렸고, 10만여 명에 달하는 가공할 만한 사망자를 초래하였다. 말 그대로 아비규환이었다. 가뜩이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민심을 다스리기 어려웠던 일본 정부는 혼란스런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계략을 꾸며냈다. 그건 바로 민중의 불안과 분노의 표적을 다른 곳, 즉 재일조선인에게 향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탔다”와 같은 유언비어를 퍼트렸고, 당시 일종의 재향군인회였던 자경단을 현혹하여 무차별적으로 조선인을 색출하고 살해했다. 불과 며칠 사이 6,661명의 조선인이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싸늘한 시신으로 탈바꿈했다. 이건 철저하게 한 공동체의 질서를 보존하기 위해 무력한 특정 집단을 계획적으로 말살하려는 제노사이드임에 틀림없다.   이때 식민지 조선에서 이 소식을 전해 들은 이들은 과연 어떠한 심정이 들었을까. 우린 현재 매스컴을 떠돌고 있는 사진이나 증언 등을 통해 비극을 비껴간 이들이 느꼈을 법한 심정을 조금이나마 헤아릴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문학의 측면에서는 희귀한 아래 시를 읽어 볼 수 있겠다. 실제로 이 시는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의 참상을 목도한 이가 가까스로 살아남은 자의 슬픔을 노래하고 있어서 기록적인 차원을 넘어서고 있다. 아 몇 사람이 내 가슴속에서 죽어갔느뇨, 아 몇 사람이 내 가슴속에서 재 되었나뇨, 오 가신 님이어, 내 가슴속에 조그마한 무덤을 만들고길이 길이 잠드신 님이여.가슴속의 무덤은 쓸쓸하게도 둥긋둥긋하여라.옛날의 자취를 말하는 한낱 비석도 없는 조상하는 이의 술잔을 괴일 한낱 묘석도 없는이 헐벗은 무덤 속에 누운 이 과연 그 몇 사람이뇨.오 바람이 불도다, 비가 오도다.황량한 벌판 위에 가슴속 빈 들 위에,가을의 비가 오도다 가을의 바람이 불도다.오 봉분조차 무너진 헤일 수 없는 무덤이여.그리하여 해마다 가을이 되면 오 해마다 가을이 되면,최후의 심판날 아침과 같이,망령은 무덤속에 다시 눈을 뜨도다,망령은 가슴속에 다시 떼울음 울도다. ― 양주동, 〈무덤〉, 《조선문단》, 1925. 11 이 시에서 가장 먼저 우리의 눈길을 끄는 것은 시가 발표된 시기이다. 사실 양주동은 시의 끄트머리에 이 시를 1925년 9월 동경에서 썼다는 부기를 덧붙임에 따라 1923년 9월 관동대지진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난 시기에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는 그가 어째서 적잖은 시간이 흐른 뒤 그날의 순간을 떠올리게 되었는지를 물어야 한다. 그건 바로 그에게 관동대지진 당시의 비극이 트라우마, 즉 정신적 외상으로 남아 있어서 그가 그때의 상황을 반복적으로 떠올릴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그에게 그러한 기억은 무의지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건 바로 그가 고통스런 기억을 숱하게 반추하고 난 그때야 비로소 역사의 진실과 마주하게 되었다는 걸 의미한다. 어쩌면 그는 관동대지진 당시에는 현장의 생생함에 압도되어 결코 그때의 사건을 쓸 수 없었을 것이고, 그로부터 일정한 거리감이 생겼을 때 가까스로 이 시를 토해냈을 것이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보면 우리는 이 시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에 내몰린 이들의 울부짖음에 귀 기울일 수 있겠다. 그는 이들에 대해 몇 차례나 자신의 가슴속에 무덤을 마련한 존재라고 힘주어 말하고 있다. 아닌 게 아니라 관동대지진 당시 참혹하게 죽어간 조선인은 6,661명이라는 숫자로만 추산될 뿐 이들은 죽음을 기릴 수 있는 무덤조차 가지지 못했으며, 엄밀하게 이름조차 식별할 수 없는 존재였다. 우리는 시에서 이들이 “옛날의 자취를 말하는 한낱 비석도” 없고, “조상하는 이의 술잔을 괴일 한낱 묘석도” 없으며, 심지어 “봉분조차 무너진 헤일 수 없는 무덤”에 내팽개쳐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니 이들은 육체적으로만 살해되었을 뿐 실상 아직 죽지 못한 원혼이 된 존재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상황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이들을 위해 자신의 가슴속에 무덤을 마련하는 일 말고 어떤 일이 있을까. 그리하여 이들은 해마다 그날이 돌아오면 다시 “망령”으로 되살아날 것이다. 어쩌면 이들은 그날 자신을 향해 광기의 칼날을 휘두른 자들에게 “최후의 심판날 아침”이 오기 전까지는 영원히 죽지 못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망령이 “무덤 속”, 즉 내 “가슴 속에”서 “다시 눈을 뜨”고, “다시 떼울음 울”게 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은 살아남은 또는 살아있는 자에 의해 역사의 진실을 회복하게 될 것이다. 다름이 아니라 관동대지진 100주년은 산 자의 몫으로 남아 있는 역사의 과제를 우리에게 암시해주고 있다.글쓴이|최호영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주로 비교문학, 사상사,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현대시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