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을 가정에서 사용하는 온도계처럼 간단하게 검진할 수 있는 기술이 포스텍 연구팀을 통해 발표됐다. 포스텍 화학공학과 전상민 교수 연구팀은 미국화학회(ACS)가 발간하는 권위지, 애널리티컬 케미스트리(Analytical Chemistry)지를 통해 백금나노입자와 모세관을 이용해 심근경색 여부를 알 수 있는 단백질, 트로포닌Ⅰ(Troponin I)을 5분 만에 검출해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발표했다. 미국화학회가 발표하는 저널들의 논문 중 주요 연구결과로도 선정돼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이 기술은 특히 긴급한 진단을 필요로 하는 응급실은 물론, 의료설비가 충분치 않은 도서·벽지나 제3세계 국가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심근경색으로 인해 심장 근육이 썩어버리면 근육 속에 들어 있는 효소나 단백질이 혈액 속으로 흘러나온다. 그 중에서도 트로포닌Ⅰ는 다른 장기에는 없는 단백질로, 혈액 속에서 이 단백질을 발견할 경우 심근경색 진단을 내리게 된다. 하지만 이런 단백질의 측정은 시간을 상당부분 소요할 뿐 아니라 고가의 분석장비를 필요로 했다. 연구팀은 체온을 재기위해 가정에서도 흔히 사용하는 알코올 온도계의 원리에 주목했다. 이 온도계는 맨 아래 부분에 붉은 색소를 넣은 알코올이 채워져 있고 그 위에 좁은 모세관이 연결되어 있는데 온도가 증가하면 열을 얻은 알코올의 부피가 늘어나 유리관 위로 올라가 온도를 표시하게 된다. 이 원리처럼 모세관 속 잉크방울이 심근경색을 알리는 단백질의 농도만큼 유리관 위로 올라가며 심근경색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