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종교개입·판사 접대 의혹…국민 여론은 일제히 ‘강력 대응’을 외치고 있다. 정치권과 사법부의 후폭풍이 거세질 전망이다. 반복되는 산업재해 사망 사고에 대한 분노가 여론조사에서 폭발했다. 8월 초 실시된 전국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70%에 달하는 국민이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적절한 요구”라며 정부의 강력한 경제적 제재 방침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 경영 위축”을 이유로 반대한 응답은 20% 수준에 그쳤다. 특히 모든 연령대와 지역에서 찬성이 우세했으며, 보수 성향이 강한 TK·PK 지역조차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중대 사고 기업의 정부 공사 참여 제한, 대출·투자 불이익 같은 강도 높은 제재만이 ‘기업 살인’ 악순환을 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 당시 특정 종교집단 개입설에 대한 국민 여론도 충격적이다. 2021년 경선 과정에서 신천지 등 종교단체가 윤석열 후보의 승리를 돕기 위해 조직적으로 입당했다는 의혹에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사실일 것”이라고 답했다. TK 지역과 1829세, 70세 이상에서만 의견이 엇갈렸을 뿐, 수도권과 호남, 3060대는 ‘사실 가능성’을 높게 봤다. 국민의힘 지지층만이 “사실이 아닐 것”이라며 방어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경선 직후 의혹을 인지했으나 정권 정당성 문제를 우려해 공개하지 않았다”고 고백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여론은 ‘경선 공정성’ 논란으로 재점화되는 양상이다.     더 큰 파문을 예고하는 것은 사법부 관련 의혹이다. 내란사건 담당 지귀연 판사가 유흥주점 접대를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 국민 3분의 2가 “인사조치와 수사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지역과 세대를 막론하고 동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여성층에서는 70%를 훌쩍 넘어섰다. 사법부의 신뢰가 뿌리째 흔들릴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정치권의 대응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법관이 술 접대를 받으며 내란사건을 심리했다면, 사법 정의가 무너진 것”이라는 여론의 분노가 확산 중이다.     이번 여론조사는 여론조사꽃이 8월 1~2일 만 18세 이상 남녀 2,015명을 대상으로 ARS(1,006명)와 CATI(1,009명) 방식으로 각각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산재는 기업 살인, 종교개입은 민주주의 파괴, 판사 접대는 사법 붕괴”…여론의 분노가 정치·사법 구조 개혁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