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조성사업이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이하 중도위) 심의를 통과함에 따라 사업추진이 9부 능선을 넘게 됐다.포항경제자유구역은 지난해 사업추진 불투명으로 무산 위기에 처했으나 이병석 국회의원과 김관용 경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이 민선6기 출범과 동시에 서로 협력해 2015년 8월 4일까지 실시계획 승인 신청하는 조건으로 시한을 연장하면서 극적으로 부활시켰다.이와 관련, 지난 11일 이강덕 포항시장은 중도위를 방문해 포항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역설하고, 재심의가 무사히 통과돼 어려운 포항 경제에 새로운 활로를 모색할 수 있도록 거듭 협조를 구했다.이병석 국회의원도 국토부 관계자들에게 지난해 지구 해제 위기를 모면하고 새로운 사업시행자를 선정해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중도위 재심의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강력하게 요청하는 등 재심의 통과를 위해 큰 역할을 했다.삼수(5월 14일, 5월 28일, 6월 11일) 끝에 중도위 심의를 통과한 포항경제자유구역의 최대 쟁점이 되었던 사항은 당초 지정 때보다 면적이 대폭 줄면서 주택면적과 주택수가 크게 늘고 경제자유구역 지정 취지에 비해 외국인 전용용지 면적이 적다는 등 여러가지 이유로 재심의에 회부돼 사업 무산 위기까지 몰렸다.포항지역 경제자유구역인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는 당초 376만㎡에서 146만㎡로 축소해 개발계획 변경 승인이 마무리 단계에 6월 23일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 후 7월 중으로 실시계획 승인 신청하고 연말에 실시계획 승인이 나면 올해 안으로 본격적인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렇게 되면 포항은 남구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611만9000㎡) 조성사업과 북구 영일만항 건설, 영일만4일반산업단지 및 경제자유구역 조성으로 남북구 경제균형 발전이 가시화 되어 철강산업 구조에서 첨단산업, 자동차, 기계부품, 메카트로닉스 등 산업 다각화가 가능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