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시설관리공단은 여행하기 좋은 가을을 맞아 선비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기북 덕동문화마을에 위치한 포항전통문화체험관에서 지난 12일~13일까지 1박 2일 동안 ‘가족愛 힐링캠프’를 개최했다.
‘오백만송이 뱃머리꽃밭 국화꽃잔치’가 오는 20일부터 다음달 20일까지 남구 상도동 에코파크 내 뱃머리꽃밭에서 펼쳐진다.
포항시는 가을 수확철 농촌인력 감소와 고령화·부녀화로 인한 일손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돕기 위해 오는 16일부터 11월 30일까지 가을철 농촌일손돕기를 추진한다.
포항시 시청사 비상계단 지하 1층에서 지상 16층까지 건강오름계단을 조성한지 1년,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걷기 운동을 통해 ‘체중은 내리Go, 건강은 올리Go’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포항시는 15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포항지역 명예감사관을 초청한 가운데 도․시정현안 설명회를 개최했다.
포항시 북구정신건강증진센터는 14일부터 오는 12월 18일까지 포항중학교와 흥해공업고등학교를 직접 방문해 자기성장을 위한 감성개발 집단프로그램인 ‘Twinkle 빛나는 나!’를 실시한다.
포항시 남구정신건강증진센터는 지난 11일 KT포항지사와 직원들의 정신건강증진을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포스코 PCP봉사단(회장 김해봉 (주)조선내화부사장)은 14일 포항시 푸드마켓을 방문해 운영지원금 2400만원을 전달하며 포항시의 ‘행복동행’, ‘희망나눔’운동에 적극 동참했다.
포항시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경북동부지역본부는 14일 포항시청에서 KBS 사랑의 리퀘스트 후원금 전달식을 가졌다.
포항시와 경상북도, 포항영일만신항(주)는 14일 구미 센츄리호텔에서 구미를 비롯한 경북지역 수출·입 기업과 물류업체 및 여행사 관계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포항영일만항 물류경쟁력 확보를 위한 포트세일즈를 성공리에 개최했다.
12일 형산강 둔치 특설무대에서 열린 ‘2013년 제6회 연일 부조장터 문화축제’가 성황리에 종료됐다.
‘2014년 포항시 업무보고’가 10일 오전 시청 대회의실에서 건설도시국, 건설환경사업소, 상수도사업소에 대해 박승호 포항시장 주재로 진행됐다.
포항시 평생교육관(관장 정순완)은 오는 14일부터 ‘제53기 여성대학 과 웨딩스쿨 및 부부행복스쿨의 테마 교육’을 앞두고 선착순으로 교육생을 모집한다.
포항시상수도사업소(소장 이병기)는 11일 수돗물에 대한 안정성 홍보와 신뢰도 향상을 위한 ‘2013년도 하반기 포항시 수돗물평가위원회’를 개최하고 민․관합동 수질검사를 실시했다.
10일 포항운하 통수에 이어 포항운하 물관리센터 앞에서는 포항운하 통수를 기념하는 ‘KBS 열린음악회’가 성대하게 열렸다.
포스텍(POSTECH)은 11일 포스텍 청암학술정보관 맞은편 C5 건설부지에서 교육·연구용 건물 C5 착공식을 가졌다.
포항시가 남구지역의 안정적 용수확보를 위해 남구통합정수장(1단계) 민자사업(BTO)을 추진한다.
포항시는 10일 국내 최초의 도심재생 및 환경재생 프로젝트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포항운하’의 일부 수문을 개방했다.
포항의 농가맛집 2호점인 ‘월월이청청’이 24일 공식적인 개장으로 본격적인 손님맞이에 들어갔다. ‘월월이청청’은 천혜의 비경을 자랑하는 계곡 암반 사이로 사시사철 맑은 물이 흘러내려 여름 피서지로 더 잘 알려진 하옥계곡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골 자연밥상’을 콘셉트로 식자재의 70% 이상을 지역의 임야와 사업농가에서 생산 조달하는 로컬푸드가 특징이다. 양지육수와 제철 버섯, 묵은지를 결합한 깔끔한 국물 음식인 ‘월월이전골’, 통오리를 침염 후 황토가마에서 훈제처리한 ‘산속화덕구이’, 오리육‧고두밥‧각종야채로 수제 소제지를 만들어 황토가마에서 훈제 처리한 ‘산속오리쌈’, 제철에 나는 산채, 약초, 버섯으로 만들어내는 ‘청청비빔밥’ 등이 20년 조리 경력과 2012 포항시 맛 페스티발 요리경연대회 향토음식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한 이점희 대표의 손끝에서 만들어진다. 농가맛집은 2007년 향토음식 계승 및 농외소득 향상을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시작돼 전국 지자체로 확대된 ‘향토음식자원화사업’의 하나로서, 맛있고 깨끗하며 공정한 음식, 오래된 먹을거리, 제철음식과 발효음식을 농업인의 진정성과 이야기를 담아 제공하고 있는
포항시는 원룸지역 재활용품 분리배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오천읍 소재 원룸 밀집지역 8곳을 선정해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을 설치했다. 재활용품 수거함은 유리병, 캔, 종이, 플라스틱 등을 종류별로 분리배출 하도록 주차장 등 주민들의 눈에 잘 띄는 장소에 설치했으며 매주 2회(수·토요일)수거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휴대폰, 카메라, MP3, 헤어 드라이기 등 소형가전제품을 별도로 수거해 자원화 할 수 있도록 소형가전제품 수거함을 제작해 관내 30개소에 설치했다. 또한 시는 재활용선별센터 내 플라스틱 감용기를 설치해 매립장으로 반입하는 플라스틱의 재활용률을 높이는 데 힘쓸 방침이다